[생명, 정의와 평화]

View Article

천천히 끝까지 기억하고자..

상록수 | 2022.04.15 09:43 | 조회 362
김상수님의 글입니다.
 
 
7년 전 2015년 오늘 자 프랑스 ‘르몽드’신문 세월호 1주년 기사를 다시 공유한다. 참사가 나고 1년 밖에 지나지 않아 당시는 사건의 모든 정황이 불확실한 때였다. 그러나 당시 한국의 어떤 언론 매체보다 입체적으로 깊이있게 다룬 기사를 프랑스 신문이 냈다. 다시 가져온다.
일시에 304명이 희생된 이 참사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들 처벌은 유야무야로 끝날 수 없다.
언제까지나 대충 가리고 덮고 뭉개고 지나가는 식이 되풀이 될 것인가. 1980년 광주의 학살도, 그 이전에 숱한 억울한 죽음들 정체도 뚜렷하게 밝혀내지 않고 그냥 막 지나가고 있다. 21세기 한국은 문맹의 시대가 아닌 문명의 시간이어야 하는데 말이다.
그런데 또 퇴행의 시간이 닥쳤다. 정치검사 놈이 버젓이 쿠데타를 하고 이를 선거로 승인하는 야만의 사회가 됐다.
세월호 참사든 뭐든 모든 참사에는 그 참사를 불러들이는 원인이 하나 둘 쌓이면서 불시에 다가오기 마련이다. 눈 뜨고 있는 ‘한국인’들은 오늘 사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르몽드>가 세월호 1주기 맞아 한국 현실을 심층적으로 보도했다. 국내 어떤 언론보다도 문제의 본질에 접근한 기사다. 다음은 '르몽드’ 기사 전문이다.
 
– 1년 전부터 광화문 지키는 피해자 가족들 인터뷰
– 여전히 모호한 사고 상황 … 그리고 무성한 소문
– ‘사라진’ 7시간 논란 대통령이 흘린 눈물은 거짓
– 돈 밝히는 가족 매도하는 집단 … 둘로 나뉜 사회
 
<르몽드>가 세월호 침몰 1주기를 앞두고 사고 이후 지난 1년간 한국에서 벌어진 여러 상황에 대해 상세히 보도했다. 도쿄 특파원인 필립 메스메르 기자가 서울을 직접 방문해 작성된 이 기사는 지난 12일 인터넷판과 14일 자 지면에 실렸다. ‘사설과 분석’ 섹션면의 톱기사로 올라 삽화와 함께 상당히 많은 양이 할애됐다.
‘세월호 침몰에서 잊혀진 사람들’이라는 제목의 기사는 1년째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장군 동상 아래 천막을 지키고 있는 가족들을 묘사하는 장면으로 운을 뗀다. 기사에 따르면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침몰 당시의 상황이 모호하게 남아있다. 사고 직후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가족들의 혼란이 가중됐다. 언론에서는 수많은 구조 인원이 투입됐다고 했지만 가족들이 직접 확인한 현장에서는 아무런 구조활동도 이뤄지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가족들이 더욱 절망한 이유는 “배려”와 “연민은 더 이상 기대하기 힘들어보이는 정부의 태도”에 있다. 느닷없는 정부의 배상금 관련 발표에 가족들은 삭발로 대응했다. 기사는 가족들은 돈이 아니라 “사고의 진실 규명과 선박의 인양을 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이런 정부의 태도들이 사고에서 교훈을 얻으려는 게 아니라 참사를 잊게 만들려고 하는 것으로 비친다”고 덧붙였다.
정부를 향한 가족들의 비난의 중심에 박근혜 대통령이 있다. 국민들은 박 대통령이 사고 현장에 찾아와 보인 눈물을 “거짓으로 받아들”이고, “진상 규명을 하겠다던 약속은 공수표”라는 것을 알게 됐다. 사고 당일 ‘사라진’ 7시간에 대한 논란이 가중되면서 대통령의 이미지는 크게 손상됐고, 전 비서관을 만났다는 등의 소문만 무성하게 됐다.
기사는 또 참사 이후 한국 사회가 두 진영으로 나뉘어 정치적 대립의 양상을 띄게 된 점을 눈여겨봤다. 가족들은 단식 투쟁을 벌였고, 극우단체들은 그들 앞에서 반대 시위로 맞불을 놓았다. 배상금 관련 발표가 이어지자 가족들을 비난하는 사람들은, 특히 여당의 국회의원이라는 자까지 나서서 가족들에게 향해 “공금 도둑”이라는 망언도 서슴지 않았다.
기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들이 1주기 행사를 어떤 방식으로 치러야 할지 망설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정부는 이 비극이 잊혀지도록 온갖 수단을 동원하고 있”지만, 가족들은 1주기 추모식이 다시 한 번 한국 사회를 둘로 갈라놓는 이미지를 남기는 건 아닌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기 때문이다."
Les oubliés du naufrage du « Sewol »
세월호 침몰에서 잊혀진 사람들
Par Philippe Mesmer (Séoul, envoyé spécial)
필립 메스메르(서울, 특파원)
그 흰색 천막들은 여전히 광화문을 지키고 있었다. 거의 1년 전부터 한여름의 불볕더위와 겨울의 매서운 추위, 그리고 민족주의자들의 공격을 견뎌내고 있다. 천막은 서울 심장부의 한 광장에, 불멸의 군인 이순신(1545-1598) 장군의 동상이 표현하고 있는 굳은 시선 아래 위치하고 있다. 그는 일본을 상대로 해전의 승리를 이끌어낸 국민적 영웅이다.
천막은 2014년 4월 16일 한반도 남서쪽 바다에서 침몰한 세월호의 슬픈 기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비극은 295명의 사망자와 9명의 실종자를 낳았다. 피해자의 다수는 수도 서울에서 열차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산업도시 안산의 단원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었다.
천막 사이사이로 수많은 노란 리본들이 넘실거린다. 국민적 슬픔을 애도하기 위해 선택된 색은 노랑이었다. 노란 리본은 한국 사회를 둘로 나누어 놓은, 깊이 새겨진 비극을 상징한다. 희생자 가족들을 괴롭히던 분노와 상심을 잠시 접어둔 채 묵념의 순간을 맞이해야 할 참사의 1주기가 다가오지만 상처는 여전히 예리하게 남아있다. 이 사고로 아들을 잃고 대부분의 시간을 광화문에서 보내고 있는 조남송씨는 “너무 절망스러워 때때로 살고 싶은 생각이 없어진다”고 말했다.
한국의 남서쪽에 위치한 전라남도의 빈촌 출신으로 방직공장 노동자로 일하기 위해 안산에 정착한 오영석씨 역시 “사람들에게 진실을 알리기 위해” 집을 내팽개쳐 두고 광화문에 진을 쳤다. 그는 “지금도 그날이 기억난다. 평소와 다르게 나는 내 아들과 아침 식사를 했고 출근 전에 여행 잘 다녀오라고 말해줬다”고 말했다. 특히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절 수학여행을 가지 못한 1997년생 고등학생들에게 이번 여행은 중요한 것이었다. 오씨는 “2003년에는 사스 파동이 있었고 2008년에는 글로벌 경제 위기가 있었다. 이번 여행은 대학 가기 전 마지막 기회였다”고 덧붙였다.
이번 참사가 더 고통스러운 것은 일종의 배신행위처럼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교육이 전부이고 매우 비싼 돈을 지불해야 하는 이 나라에서 부모는 자신의 자녀가 최고의 대학에 들어갈 수 있게 많은 것을 희생한다. 오씨는 “참사 이후로 일을 그만두었다. 일은 계속해서 뭐할 것인가. 그런데 우리는 우리 아이들이 왜 죽었는지조차 모른다”고 말했다.
실제로 침몰 당시의 상황은 여전히 모호하다. 배는 서울의 서쪽에 있는 인천항을 출발해 제주도를 향해 항해했다. 경험이 그리 많지 않은 선원들이 키를 잡은 배는 상당한 속도로 위험한 지역을 통과했고, 갑자기 방향을 선회했다. 뒤이은 조작이 배를 전복시켰다. 배가 갑작스럽게 출렁이자 대충 고정된 차량과 화물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전복되도록 도왔을 것이다. 대부분 비정규직이었던 선원들은 안전 교육을 거의 한 번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참사 이후 쏟아지는 정보들이 구조대의 태만 속에 동요하고 있는 피해자 가족들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그들은 버스로 사고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섬 진도에 도착했는데 아무것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걸 보고 깜짝 놀랐다. 사고에서 딸 다윤이를 잃은 허흥환씨는 “언론에서는 사고지점으로 20대의 헬기가 보내졌다고 했는데 단 한대도 없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희생자 시신이 수습된 것은 민간 잠수사에 의해서였지 해경이나 해군의 의해서가 아니었다. 서울에 위치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구조 상황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 텔레비전을 참고했어야 했다. 해군은 1590억 원(1억 3500만 유로)을 들여 지난 2012년 건조한 한국 최초의 전문 구조함 통영함을 이용할 수 없었다. 통영함은 비리 스캔들의 한 가운데 있다.
소문
여러 관련 기관들은 신빙성 있는 정보를 주거나 비상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어떠한 조화도 이루지 못했다. MBC는 사고 초반 모든 학생들이 살아있다고 보도해 일부를 안심시키기도 했다. 오씨는 “‘그럼 다 젖었겠네’라고 생각했다”고 기억을 떠올렸다. 소문은 확산됐다. 희생자 여학생의 아버지 이민우씨는 “누군가 우리에게 아이들이 다른 섬으로 보내졌다고 했다. 나는 병원에 전화했는데 병원에서는 아무도 도착하지 않았다고 했다”고 말했다.
배려라고는 찾아볼 수 없고, 피해자 가족을 위한 연민은 더 이상 기대하기 힘들어 보이는 정부의 태도 때문에 가족이나 아이를 잃은 고통은 더욱 고조됐다. 사망 학생 한 명 당 4억 2천만 원(35만 7000 유로), 사망 교사 한 명당 7억 8천만 원(66만 3000 유로)이라고 배상액을 발표한 정부에 항의하기 위해 부모 52명은 지난 4월 2일 삭발을 감행했다.
부모들은 돈을 원한 게 아니었다. 그들은 사고의 진실 규명과 선박의 인양을 원하고 있다. 그 바람이 정부에 울림을 주기는 어려울 것 같다. 피해자 가족들의 기대에 부응하고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지난해 11월 채택된 ‘세월호 관련법’이 지난 3월 27일 정부의 시행령 입법예고 이후 상당 부분 수정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법안들은 국무총리 산하 공공안전 기관의 대대적인 개정과 부당하게 이득을 얻은 사람에 대한 처벌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 사고 선박의 소유주인 청해진 해운 가족의 이름을 따 ‘유병언법’이라 명명됐다.
이 회사는 구속수감 중인 유대균과 유혁기 등 유병언의 두 아들 명의로 돼 있다. 아버지 유병언은 기독교 신흥 종파 중 하나인 구원파의 지도자여서 한국의 권력자들과도 가깝게 지냈다. 경찰에 쫓기던 유병언은 2014년 6월 서울에서 300 킬로미터 가량 떨어진 전라남도 순천의 한 농가에서 숨진 채로 발견됐다.
세월호 선장 이준석씨에 대한 징역 36년형 선고가 이뤄지기 며칠 전에 통과한 법안은 참사의 책임을 밝힐 수 있는 특별 검사와 조사위원회의 설립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정부는 조사위원회의 권한과 재정을 제한할 수 있게 됐다. 위원회의 절반이 공무원으로 이뤄지게 됐다.
가족들에게는 이런 정부의 태도들이 사고에서 교훈을 얻으려는 게 아니라 참사를 잊게 만들려고 하는 것으로 비친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비판을 받고 있다. 사고 수습을 위한 첫 방문에서 보여준 그녀의 눈물은 이제 많은 사람들이 거짓으로 받아들인다. 진상 규명을 하겠다던 그녀의 약속은 공수표가 돼버렸다.
4월 16일의 행적을 둘러싼 논란이 가중되면서 정부 총책임자의 이미지는 손상되고 말았다. 그녀는 7시간 동안 ‘사라졌었다’. 어디에 있었을까 ? 한국의 대통령 관저인 청와대에 있었지만 연락은 닿지 않았다, 고 측근들은 주장한다. 그러나 설득력은 없다. 이전 비서관과의 만남까지 들먹거리는 수많은 소문들이 유포됐다.
정치적 대립
동시에 참사 이후 안전을 희생시킨 채 “빨리 빨리”의 리듬으로 강행군을 거듭한 결과 이뤄낸 한국의 고속 성장에 대한 논쟁에 불이 붙었으나 이내 잊혀진 듯하다. 사회공공연구원 김철 연구실장은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로 남아 있는 재벌과 고위 관료들의 결탁이 세월호 참사를 빚어냈다”고 말했다.
피해자 가족들을 지원하고 있는 야당 소속인 박원순 서울시장은 “오늘날 우리에겐 삼성이 있다. 좋은 일이다. 그러나 세월호의 비극은 우리가 어떤 가치들을 간과했음을 보여준다. 우리는 돈을 우선하느라 사람을 잊어버렸다”고 말했다.
희생자 가족의 고통을 무엇으로 쓰다듬을 수 있을까. 이민우씨는 “한국은 더 이상 국민을 위한 나라가 아니다. 국민은 정부를 위해 존재할 뿐이다”라며 격노했다.
언론 역시 참사 이후 거센 비판의 대상이 됐다. 4월 17일 박 대통령이 진도에 방문했을 때, 공영방송 KBS는 리포트에서 가족들이 보인 분노의 표현들을 삭제해버렸다. 또 당시 김시곤 보도국장은 “사망 300명은 도로에서 벌어지는 교통사고 사망자 수에 비하면 그리 많은 것도 아니다”라고 말해 공분을 일으켰다. 김시곤 국장은 아마도 청와대의 압력에 의해 직위를 떠나야 했다. 왜냐하면 해경과 구조대에 대한 비판을 삼가달라는 청와대의 요구를 거절했기 때문이다. 허흥환씨는 “이번 비극은 기능 장애, 불의, 부패 등 한국 사회의 문제점들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꼬집었다.
이런 맥락에서 주로 평범한 배경을 가진 가족들과 정부의 대립은 빠르게 정치적인 모습을 띠었다. 단식 투쟁이 이어졌다. 지난해 8월 프란치스코 교황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그는 피해자 가족들을 배려한 여러 행동을 보여주었다. 이는 청와대를 곤혹스럽게 만들기도 했다.
권력에 가까운 정보기관인 국정원의 재정 지원을 받는 것으로 보이는 극우단체들은 세월호 천막이 있는 광화문에서 주기적으로 시위를 한다. 피해자에 대한 배상 기준이 발표되자 극우 집단과 박근혜 대통령이 속해 있는 새누리당의 의원들은 가족들을 향해 “공금 도둑”이라고 비난했다.
사고 1주기가 다가오면서 불만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중도좌파 언론인 <경향신문>은 지난 4월 3일 자 사설에서 “정부는 사고의 진실을 은폐하고 여론의 주의를 분산시키기 위해 가족들이 오직 돈에만 관심 있는 사람들로 비치도록 무슨 일이든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이 비극이 잊혀지도록 온갖 수단을 동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가족들은 광화문과 안산 그리고 권력에서 멀리 떨어진 진도 팽목항에서 1주기 추모식을 준비 중이다. 가족들은 4월 16일을 며칠 앞두고 어떤 방식으로 행사를 치러야 할지 망설였다. 아이들을 희생시킨 이 비극에서까지 둘로 나뉘어 버린 사회의 이미지를 남기지 않기 위해서다."
image - LE Monde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351개(3/18페이지)
생명,정의와 평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한국교회 생태정의 아카데미 10강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3026 2023.01.05 09:25
공지 세월호를 기억하는 예배(떼제가 보여주는 정신을 따라)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0964 2016.02.27 12:00
공지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 (사)416가족협의회를 늘 가까이... 관리자 10704 2015.01.10 00:24
공지 핵 없는 세상을 위한 한국 그리스도인 신앙선언 사진 첨부파일 관리자 10662 2014.07.30 10:23
공지 세월호 참사관련 필수 컨텐츠 사진 관리자 12504 2014.07.09 15:21
306 [생명 평화] 새만금(수라갯벌) 신공항 사업반대기도회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334 2022.04.28 17:37
>> [세월호를 기억합니다] 천천히 끝까지 기억하고자.. 상록수 363 2022.04.15 09:43
304 [세월호를 기억합니다] 세월호 8주기 기억 예배, '혼돈, 공허, 어둠 그리고 빛' 사진 첨부파일 만지다 389 2022.04.12 11:32
303 [생명 평화] 사순절기간 환경 실천 공동 행동 사진 첨부파일 송칼 609 2022.02.26 19:57
302 [핵없는 세상] 최소 30만년 묻어둬야 할 핵폐기물 대책은? 사진 하늘기차 523 2022.02.25 11:45
301 [생명 평화] 빨간지구 통신20호(22.1.28) 사진 하늘기차 544 2022.01.28 15:59
300 [세월호를 기억합니다] 오래기억해도 좋을 이야기(2021.12.31) 사진 하늘기차 384 2022.01.10 17:45
299 [핵없는 세상] 원전이 이미 끝난 독일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446 2021.12.13 16:40
298 [정의 평화] 미얀마를 위하여 사진 하늘기차 400 2021.11.21 21:45
297 [생명 평화] 기후위기비상행동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485 2021.11.08 12:44
296 [생명 평화] 탄소중립 바로 알기 (jpg) 사진 첨부파일 [1] 은하수 550 2021.10.27 20:34
295 [생명 평화] 기후위기 기독교 비상행동 집중 행동의날 송칼 472 2021.10.17 17:31
294 [핵없는 세상] 탈핵학교강의영상3편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390 2021.10.14 13:30
293 [생명 평화] COP26을 향한 호소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404 2021.10.14 12:59
292 [생명 평화] 붉은지구 | 4부 기후혁명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440 2021.09.25 20:44
291 [생명 평화] 기후위기대응 시민사회비전포럼(환경운동연합)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458 2021.09.22 17:25
290 [생명 평화] 붉은지구 | 3부 구상나무의 경고 (KBS 210916 방송)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423 2021.09.18 11:15
289 [생명 평화] 붉은지구 | 2부 제주도 바다가 죽어가고 있다.(KBS 21090 방송)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430 2021.09.18 11:13
288 [생명 평화] 붉은지구 | 1부 엔드 게임 1.5℃ (KBS 210902 방송)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392 2021.09.11 16:00
287 [생명 평화] 기후위기 I 대기과학자 조천호 첨부파일 하늘기차 574 2021.08.17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