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마당

View Article

<코즈모폴리터니즘과 종교> 강남순 교수 (上)

하늘기차 | 2016.02.25 13:03 | 조회 1032

"코즈모폴리터니즘, '이웃'과 '타자' 대한 책임감과 환대"

교통과 통신의 발달은 지구촌을 '한 가족'으로 만들고 있지만, 동시에 민족 간의 갈등과 분쟁, 심지어 '전쟁'은 격화되고 있다. 현대 사회가 직면한 위기들은 이제 더 이상 한 민족국가의 지리적 경계 안에만 제한될 수 없다. 지리적 경계를 넘나드는 이주민, 경제·정치 난민, 전쟁 난민, 국적 없는 난민 또는 지구 온난화나 국제 테러리즘 등의 문제는 이전의 민족국가적 경계를 넘어 새로운 시각을 요청한다. 이 새로운 양상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면서 떠오른 것이 '코즈모폴리터니즘(cosmopolitanism)'이다.
코즈모폴리터니즘은 모든 인간 개개인이 특정 국가나 지역에 소속됐다는 협소하고 배타적인 의미의 시민의식 안에 머무르지 않고, 그 경계를 넘어 '우주의 시민'이라는 의식을 심어 주는 '세계화 시대의 윤리'라 할 수 있다. 美 텍사스크리스천대학교(TCU) 브라이트 신학대학원(Brite Divinity School) 교수이자 포스트모더니즘, 페미니즘 같은 현대 철학·신학 담론을 가르치고 있는 강남순 교수가 이러한 논의를 담은 <코즈모폴리터니즘과 종교>를 지난해 말 출간했다.
책에서는 21세기 들어 코즈모폴리터니즘이 대두된 배경과 그 특성·가치, 역사와 철학 속 코즈모폴리터니즘, 예수 그리스도와 바울에게서 찾는 기독교 코즈모폴리터니즘 등을 서술하고 있다. 본지는 저자 강남순 교수와 출판사 새물결아카데미 최경환 편집위원의 인터뷰 내용을 두 차례로 나눠 소개한다. 인터뷰는 지난 1월 진행됐으며, 일부 질문은 기자가 이메일을 통해 보충했다. 다음은 인터뷰 전문.

 

타자 사랑, '개별성에 대한 사랑'에서 시작돼야
-1장의 제목이 '21세기, 코즈모폴리터니즘의 귀환'입니다. 코즈모폴리터니즘이 '21세기적 현상'이라면, 이것 또한 '시대적 산물'이 아닌가요. 결국 '한때의 유행'으로 끝날 수 있을 텐데요.
"'유행'으로서의 코즈모폴리터니즘이 아니라, 지리적 경계를 초월하여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개별인들 한 사람 한 사람을 소중히 여기고 그들의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지켜내고 정의를 적용하고자 하는 사상과 실천으로서의 코즈모폴리터니즘은, 사실상 사회·정치·종교적 의미에서 지속적으로 우리가 매우 중요한 실천적 과제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코즈모폴리터니즘은 '이웃'과 '타자'에 대한 책임감과 환대를 제시합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시아만 해도 일본의 위안부 문제와 신군국주의, 중국의 팽창주의, 북한의 핵무기 등 각국이 자신들의 이익만을 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코즈모폴리터니즘'이 설 자리가 있나요.
"코즈모폴리터니즘이 지닌 사상이 실천하기 쉬운 것이라면 등장할 의미가 없겠지요. 이미 21세기 들어 언급하신 것 이상으로 참으로 복합적이고 다양한 사회·정치적 위기 상황에 대면하고 있기에, 코즈모폴리터니즘이 각 분야에서 부상하게 된 것입니다. 민족국가적 이득과 인류 보편의 이득이 상충하면서 결국은 인류가 심각한 위기를 직면하게 된 것입니다. 
울리히 백(Ulrich Beck)은 그의 '코즈모폴리턴 메니페스토(Cosmopolitan Manifesto)'를 마치면서 '세계의 시민이여, 단결하라'고 말합니다. 이 현대 사회의 다층적 위기들은 개별 국가들이 자신의 이득만을 생각하면 안 되는 지점에 이른 것이지요.
'코즈모폴리터니즘의 귀환' 은 이러한 점에서 자민족 중심적 이득의 확대와 인류 보편의 생존이 심각한 갈등 속에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나왔습니다. 코즈모폴리터니즘 사상이 사회·정치적, 그리고 종교적으로 확산돼야 하는 이유라고 볼 수 있지요."
-책에서 '코즈모폴리터니즘'은 '~이 아니고', '~이 아니고', '~이 아니고'라면서 상당히 조심스럽게 정의하시는 것 같았습니다. 그 용어가 혼동되거나 오해될 것을 염두해 두고 작업한 것 같아요. 일단 코즈모폴리터니즘은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는 기획이기에, 어쩌면 근대적 기획일 수 있습니다. 인권의 보편성이나 권리에 대한 문제를 다루기 때문이죠. 그런데 코즈모폴리터니즘은 이런 것과 다르고, 그러면서도 특수성(particularity)이나 민족적 정체성을 아예 무시하는 것도 아니라고 하셨지요. 이런 논의들을 예민하게 구분하려는 의도인지요.
"네, 굉장히 잘 이해하셨습니다. 제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을 쓰고 강연을 하다 보니, 코즈모폴리터니즘에 대한 흔한 오해들 때문에 서두에 그런 이야기를 많이 썼습니다. 무엇이 코즈모폴리터니즘이 아닌가에 대해 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코즈모폴리턴'이 되려면 우선 경제적으로 부유해야 한다고 오해합니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여행도 다니면서 소비적인 생활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문화적 코즈모폴리턴에 대한 전형적 이해입니다. 경제적으로 부유해야 이런 생활을 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가난한 사람들은 할 수 없는 생활입니다. 중산층이나 돈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세계시민'이구요. 
저는 그렇게 '문화를 즐기는 것'으로서의 세계시민에는 별 관심이 없습니다. 소위 '문화적 코즈모폴리터니즘'은 정의나 연대, 권리의 문제에 대해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지요.
또 다른 오해 가운데 하나는 이분법적 사유입니다. 보편성을 강조하면 특수성을 없애거나, '이것이냐 저것이냐' 하는 선택을 강요한다고들 합니다. 코즈모폴리터니즘을 강조하면 특수성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냐고 질문하는데, 이는 우리가 근대 이분법적 사유 방식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입니다. 코즈모폴리터니즘과 보편주의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보편주의는 인류나 공동체 같은 보편적 다원주의에서 출발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코즈모폴리터니즘은 개별인에서 시작합니다. 이 점에서 코즈모폴리터니즘은 '개별성의 윤리(ethics of singularity)'에 근거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남순'이라는 개별적 존재는 개인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동시에 그가 속한 한국, 아시아, 그리고 세계 속에 존재하는 인간입니다. 이러한 동시성을 봐야 합니다. 즉 한 개인으로서의 특수성과 세계에 속한 인간이라는 보편성을 동시에 보아야 하는 것이지요. 이 모든 정황이 모두 연결돼 있는 것이지, 분리된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개별성과 보편성을 언제나 동시적으로 살아내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그것이 하나의 지향점입니다. 
저는 예수의 시선이 바로 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웃과 원수를 함께 사랑하는 것은 이미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전제되어 있습니다. 타자를 사랑하는 것은 먼저 개별성에 대한 사랑에서 시작합니다. 잃은 양 한 마리를 찾아 떠나는 목자의 비유에서처럼, 개별 존재의 소중함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이웃 사랑의 의미가 실현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의 이분법적 사유 방식 자체를 넘어설 필요가 있습니다."

강남순 코즈모폴리터니즘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강남순 교수, 최경환 연구원, 이대웅 기자. ⓒ새물결아카데미 제공


Think Globally, Act Locally? 생각도 행동도 '글로컬'하게!
-그래서 궁금한 것이 근대적 기획, 즉 개별적 주체나 개인의 권리 개념들이 근대에 이르러 출현하는데, 이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여성이나 타자성을 온전히 구현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 근대성이 '미완의 기획'이어서 그렇지, 본래 추구하는 바가 바로 코즈모폴리터니즘 아니었을까요. 여러 한계가 있겠지만, 칸트나 하버마스의 지향점도 큰 틀에서 잘못된 것이 아니라고 보는데요.
"그럼요. 저는 정확하게 보셨다고 생각해요. 모더니즘의 공헌이 있잖아요. 개별적 주체로서의 인간을 받아들이고, 그 인간의 자유와 평등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큰 공헌이 있습니다. 어느 시대 담론이든 그저 단순히 지나가버리는 것이 아닌 것이지요. 저도 학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가르치지만, 모더니즘을 단순히 비판하거나 지나쳐 버리지 않습니다. 모더니즘이 남긴 미완의 기획이 아직까지 있고, 개별적 인간의 한계를 지적하는 것이지요. 인간의 주체 자체를 무시하거나 버릴 수는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칸트가 가진 중요한 공헌이 있으면서, 동시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지구상 모든 존재에게 권리가 있다는 그의 코즈모폴리터니즘은 훌륭합니다. 그런데 칸트는 자신의 인간지리학을 통해 특정 종족의 인종적 우월성 또는 열등성을 이론적으로 강조함으로써, 자신의 코즈모폴리턴 사상과 상충하는 '모순'에 빠집니다. 그래서 저는 '칸트와 함께 생각하면서 칸트를 넘어서야 한다(thinking with Kant against Kant)'고 생각합니다. 
이는 모더니즘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모더니즘과 함께 생각하고, 동시에 그것을 넘어서야 합니다. 당시 만들어진 개별성과 주체 개념은 버릴 것이 아니라, 새롭게 완성시켜야 합니다. 단지 차이만을 강조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이 아니라, 어떻게 윤리적 개입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해야지요. 불의와 억압이 존재하는 이 세상에서 모든 개별적 다양성을 그대로 찬양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게 되면 윤리적 판단을 중지하고 탈정치화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느 이론이나 어느 담론이나 100%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공헌과 한계를 동시에 봐야죠.
마틴 루터의 '만인제사장직'에 대한 이해도 마찬가지입니다. 당시 루터가 말한 '만인'에는 시대적 한계 때문에 여성이 '만인'의 범주에서 배제됐지만, 그가 말하고자 했던 내용은 나름의 공헌이 있고 의미 있는 작업이었습니다. 그것을 더욱 급진적으로 발전시켜야 하지요. 뿌리로 들어가 누가 포함되고 배제되는지를 보다 분명하게 봐야 합니다. 루터의 사상을 급진화(radicalize)시키고, 복합화(complexify)시켜야 합니다. 
그래서 자크 데리다도 '새로운 계몽주의(new Enlightenment)'에 대해 말합니다. 계몽의 기획을 무화(無化)시키는 것이 아니라, 급진화하고 복잡화시키는 것이 요청된다는 것이지요. 그것은 이제까지 비존재로 여겨졌던 존재들과 함께하는 삶, 더불어 사는 삶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래서 코즈모폴리터니즘은 일부 포스트모더니즘과는 달리, 상당히 정치적입니다.
이제 우리는 정치적으로나 생태적으로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우리만의 독특한 문화를 고수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우리가 착각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흔히 '세계적으로 사유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자(Think Globally, Act Locally)!'는 모토입니다. 이런 생각은 여전히 이분법적입니다. 현대 세계는 세계적인 것과 지역적인 것을 그렇게 확연히 나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저는 그래서 생각도, 행동도 모두 '글로컬(glocal)'하게 해야 한다고 봅니다. 글로벌과 로컬은 실타래가 얽혀 있듯 서로 맞물려 있습니다. 분리 불가능한 것이지요."
-대화를 코즈모폴리터니즘으로 시작해 포스트콜로니얼리즘(post-colonialism·탈식민주의)까지 이어가고자 합니다. 세속화가 빠르게 진행될수록 근본주의도 동시에 기승을 부리고, 세계화가 진행될수록 민족주의나 정체성의 정치도 비례해서 빠르게 성장합니다. 어떤 공동체가 만들어 낸 세계관과 이해의 지평은 상당히 두꺼운 문화적 층으로 구성돼 있는데, 이것을 코즈모폴리터니즘이 무마시키는 것 아닌가 합니다. 따라서 오늘날 세계화에 관련된 이슈가 터졌을 때, 마이클 왈저(Michael Walzer)가 이야기했듯 '두꺼운 정체성'에서 시작해 '얇은 연대'를 이루어야 하지 않을까요. 흔히 인권 문제가 나올 때마다 '인도적 개입'에 대한 말이 많은데, 이 부분을 조심스럽게 다뤄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이런 점에서 저는 공동체주의에 살짝 손을 들어 주고 싶은데, 오늘날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특이성이나 민족의 정체성을 부각시켜야 제국주의 담론에 저항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지금 말씀하신 문제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씨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출발점에서부터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가 분리된 것'이라고 전제합니다. 한쪽을 강조하면 다른 한쪽이 약화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코즈모폴리터니즘은 그 출발점부터 잘못되었다고 보는 겁니다.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우리들의 사유 방식이, 사실 그동안 무수한 인권 유린과 위협을 가져 왔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모더니즘과 콜로니얼리즘(Colonialism·식민지주의)은 분리할 수 없습니다. 모더니즘의 발전 이면에는 콜로니얼리즘이 있었습니다. 식민지주의 없는 서구의 발전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식민지 국가가 독립을 모색할 때는 공동체라는 것을 강조하곤 하지요. 
그런데 딜레마는, 그런 공동체를 강조하는 가운데 여성들은 늘 '민족인가 젠더인가'라는 선택을 강요당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였는데, '先 통일, 後 여권'이라는 구호가 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떤 종류의 권리 문제도, 특정 방식으로 그 중요성에 대한 위계를 형성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쉽지는 않지만 치열하게 계속 고민해야 하는 것은, 마치 나선형처럼 서로를 같이 사유해야 한다는 겁니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를 묵살하게 됩니다.

코즈모폴리터니즘과 종교

책에도 썼지만, 공동체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동질성의 공동체'와 '다름(alterity)의 공동체'입니다. 민족적 공동체주의의 문제점은 자신의 이념과 생각에 동조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반민족주의자'로 낙인찍는 것입니다. 
<아시아적 가치와 인권(Asian Values and Human Rights)>이라는 흥미로운 책이 있는데, 이 책이 다루는 주제는 서구적으로 구성된 인권 개념이 아시아인들에게 맞는가 하는 것입니다. 책에 보면 아시아 법학자들도 두 부류로 나뉩니다. 한 그룹은 아시아적 인권 개념의 토대 위에 인권 담론을 구성해야 한다는 견해이고, 또 다른 그룹은 인권이란 문화에 의해 상대화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니 소위 '아시아적 인권'이라는 개념은 불가능하다는 견해입니다. 
제가 보기에 아시아적 가치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는 그 사회의 주변인들에 대한 관심이 결여돼 있습니다. 그들이 규정하는 문화는 철저히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거기서는 여성이나 가난한 자, 성소수자들이 배제됩니다. 전통적 공동체주의가 이런 함정을 갖고 있습니다. 이제껏 제국주의의 권력 아래서 고생한 나라들이 해방를 경험하면서, 동시에 자신들의 공동체 속에서 희생당한 개별인들의 권리에 대해 무심한 것을 많이 봅니다.
저는 미국에서 유교를 공부하고 사서오경을 영어로 읽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서구의 개인주의에 대한 대안(항) 담론으로 유교 철학을 이야기합니다. 유교에 대한 이상화와 낭만화가 어딜 가나 대단합니다. 그런데 그 사람들이 보는 유교는 단지 이론과 철학일 뿐입니다. 그래서 저는 상당히 양가적인 입장에 처합니다.
사실 (아시아인으로서) 아시아 종교와 철학인 유교 사상이 최고이자 대안이라고 주장하면 얼마나 편하겠어요? 그런데 이런 유교적 공동체주의 때문에 얼마나 많은 희생자들이 생겨났습니까? 나이나 성별 또는 사회적 계층에 근거한 위계주의로 인한 희생자가 얼마나 많았습니까? 저는 양쪽 모두에 비판적입니다. 
그래서 '공동체냐 개인이냐'가 아니라, '어떠한' 공동체이고, '어떠한' 개인이냐고 물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점에서 '아시아적 인권'이라는 개념은 득보다 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아시아적 문화'라는 것을 누가 규정하는가? 거기에는 '대변의 정치학'이 개입합니다. 여기서 대변자는 언제나 그 사회의 강자들입니다. 미셸 푸코가 말했듯, 지식의 중심과 권력의 중심이 일치하는 겁니다. '특정 문화에 대한 지식을 누가 생산하느냐?' 하는 문제입니다. <크리스천투데이, 계속>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23개(5/6페이지)
신학마당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요한계시록2 (처음자리 성서마당_수요예배) 사진 첨부파일 mungge 2916 2018.11.24 15:51
공지 요한계시록1 (처음자리 성서마당_수요예배) 사진 첨부파일 mungge 3333 2018.11.24 15:24
공지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운동 10년’ 자료 모음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3062 2015.07.13 14:53
40 종교개혁 500주년의 진정한 의미를 찿아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748 2017.03.07 16:00
39 종교개혁의 원음을 복원하라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789 2017.03.07 11:14
38 종교개혁의 칼날을 다시 세우라!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727 2017.03.07 11:09
37 “한국교회 국가우상주의는 ‘정권우상주의’ 입니다”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654 2017.03.06 10:26
36 마틴 루터의 95개 조항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1333 2017.02.21 16:56
35 루터에 대한 오해, 루터의 꿈, 루터의 한계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808 2017.02.21 15:45
34 루터교회 목사에게 루터를 묻다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722 2017.02.21 15:39
33 이제민신부 “우리가 믿는 부활없다”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2386 2017.02.19 14:42
32 강단의 위기는 어디서 오나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565 2017.02.01 10:26
31 데리다와의 데이트-2(종교 없는 종교) 첨부파일 하늘기차 964 2016.08.27 11:18
30 데리다와의 데이트-1(환대 그리고 호스티피탈리티) 첨부파일 하늘기차 811 2016.08.27 11:05
29 제자들은 추종했지만 막달라 마리아는 사랑했다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668 2016.08.23 11:42
28 주거 공동체로 출발한 몸된교회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1342 2016.07.25 13:14
27 <코즈모폴리터니즘과 종교> 강남순 교수 (下)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1146 2016.02.25 13:11
>> <코즈모폴리터니즘과 종교> 강남순 교수 (上)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1033 2016.02.25 13:03
25 독일교회는 왜 히틀러를 옹호했나?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1130 2016.02.13 15:34
24 나름대로 사는 신자들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598 2016.02.04 16:06
23 코스모폴리탄적 이웃사랑(3)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598 2016.01.03 17:23
22 코스모폴리탄적이웃사랑(2)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753 2016.01.03 17:17
21 코스모폴리탄적 이웃사랑(1),강남순인터뷰 사진 첨부파일 하늘기차 1327 2016.01.03 17:12